목록전체 글 (1341)
오늘도 공부
출처 : http://raftwood.net/blog/3973 오늘 보니까 ‘구글 지도 서비스 유료화 … 기업들 ‘대책 마련 분주’라는 기사가 떴다. 기사를 설렁설렁 읽으면 마치 이제 돈을 내지 않으면 구글 맵으로 어떤 서비스도 만들 수 없던 것처럼 되어 있더라. 기사에도 ‘기업이 상업용 혹은 내부 업무용으로 이용할 때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내용이 나오고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상업용 혹은 내부 업무용’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는 대한 상세한 내용이 없다. 구글지도/구글 어스 API 이용 약관을 한 번 보자. 발번역이지만 번역도 붙여 봤다. 9.1.1 General Rules. 일반 규칙. (a) Free Access (No Fees). Your Maps API Implementation..
소스1(그냥 DTO만 넘기는 소스) 소스2(DTO를 담은 List)
출처 : http://enjoydev.co.kr/65?category=18 하루에 한개의 포스트를 업로드 하기도 힘들... (지금도 힘들다) 지만, 오늘 두개째 글을 쓴다. 안드로이드 Parcelable 이라는 인터페이스가 있다. 이놈은 인텐트를 이용해 객체를 넘겨줄때에 써먹을 수가 있는데, 보통은 아래처럼 번들을 이용해 하나씩 꺼내오지만 Bundle bundle = this.getIntent().getExtras(); data1 = bundle.getString("TEST1"); data2 = bundle.getString("TEST2"); 객체를 주고받는다면, 좀 더 쉽게 개발을 할수 있을것만 같다!! +_+ 이럴때 Parcelable이란놈을 이용한다. 비트맵 형태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우도 가능하리..
sendBroadcast(new Intent(Intent.ACTION_MEDIA_MOUNTED, Uri.parse("file://"+ Environment.getExternalStorageDirectory())));
출처 : http://fupeg.blogspot.com/2011/03/honeycomb-drag-and-drop-basics.html If you are thinking about developing an Android tablet app, one of the most exciting things has got to be the drag and drop capabilities that were added to Android as part of Honeycomb. No wait a minute, aren't there a lot more interesting features than drag and drop in Honeycomb? There are definitely a lot of great featu..
출처 : http://android-ignition.tistory.com/1 허니콤 어플을 개발하기 위해 정말 많은 사이트들을 방문하여 조금씩 조금씩 정보들을 모았다. 아직은 정리해서 내것으로 만들수는 없는 단계이기 때문에 우선 참조했던 사이트들의 주소들을 목록화 하여 기록하기로 한다. 1. 구글의 Fragment 소개 번역 - 한국안드로이드테스터그룹 http://atg.or.kr/blog/tag/fragment 2. 커니`s 블로그 Fragment 소개 및 샘플 - 커니님의 블로그 http://androidhuman.tistory.com/470 3. 모토로라 모바일 Fragment 소개 http://www.slideshare.net/motodev/introducing-fragments-8306530 4..
출처 : http://karyurid.tistory.com/97 현재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위해 죽어도 다시 바로 살아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여 간단한 서비스가 죽게 되면은 AlarmManager를 이용하여 다시 살아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보았다. 시작은 우선 기본적인 서비스 시작과 중지를 담당하는 MainActivity가 있다.(ImmortalServiceMainActivity) 주가되는 것은 PersistentService.java & RestartService.java 두 가지가 있다. 이 두개를 이용하여 서비스가 중지가 되면 AlarmManager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다시 실행하게 만들어준다. 위의 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ervice의 생명주기를 알아야 한다. 그러면 이제 부터는 소스를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