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반응형
오늘도 공부
BIP44 파생 경로와 코인별 예시 정리 본문
반응형
암호화폐 지갑을 다루다 보면, **같은 니모닉(seed phrase)**을 사용해도 코인별로 전혀 다른 주소가 나오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각 체인이 따르는 **BIP44 파생 경로(derivation path)**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BIP44 기본 구조와 주요 코인별 예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BIP44 기본 구조
BIP44는 **HD Wallet(계층적 결정적 지갑)**을 위한 파생 규격입니다.
경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
m / purpose' / coin_type' / account' / change / address_index
각 요소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purpose' → 보통 44' (BIP44 표준 의미)
- coin_type' → 코인 종류를 구분하는 번호
- 예: BTC=0, ETH=60, TRX=195, SOL=501 …
- account' → 여러 개의 독립 지갑 계정을 구분 (보통 0'부터 시작)
- change →
- 0 = 외부 송수신용 주소
- 1 = 내부 거스름돈(change) 주소
- address_index → 실제 생성되는 주소 번호 (0, 1, 2 … 순차 증가)
즉, 같은 시드를 사용해도 coin_type이나 address_index에 따라 전혀 다른 주소가 나오게 됩니다.
코인별 파생 경로 예시
비트코인 (BTC)
- 첫 번째 주소: m/44'/0'/0'/0/0
- 두 번째 주소: m/44'/0'/0'/0/1
- 세 번째 주소: m/44'/0'/0'/0/2
이더리움 (ETH, 메타마스크 등 EVM 계열)
- 첫 번째: m/44'/60'/0'/0/0
- 두 번째: m/44'/60'/0'/0/1
- 세 번째: m/44'/60'/0'/0/2
트론 (TRX)
- 첫 번째: m/44'/195'/0'/0/0
- 두 번째: m/44'/195'/0'/0/1
- 세 번째: m/44'/195'/0'/0/2
솔라나 (SOL)
- 첫 번째: m/44'/501'/0'/0'
- 두 번째: m/44'/501'/1'/0'
- 세 번째: m/44'/501'/2'/0'
⚠️ 솔라나는 특이하게 마지막이 /0' 형태로, 하드닝된 인덱스를 사용합니다.
Phantom, Solflare 같은 대표 지갑들이 이 규칙을 따릅니다.
정리: 왜 중요한가?
- **같은 니모닉(seed phrase)**이라도
- BTC는 m/44'/0'/...
- ETH는 m/44'/60'/...
- TRX는 m/44'/195'/...
- SOL은 m/44'/501'/...
- 따라서 다른 체인의 지갑을 불러올 때는, 반드시 해당 체인에 맞는 BIP44 파생 경로를 선택해야 정상적인 주소가 나옵니다.
📌 결론:
BIP44는 여러 코인을 하나의 니모닉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지만,
코인별 경로 차이를 이해하고 있어야 헷갈리지 않습니다.
반응형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art Wallet: AI 에이전트가 탑재된 차세대 블록체인 지갑 (0) | 2025.10.01 |
---|---|
ERC-6551 완벽 가이드: NFT가 스마트 계정이 되는 혁명적인 표준의 모든 것 (1) | 2025.09.24 |
Tronweb에 NextJs15 이슈 (1) | 2025.07.08 |
에이셔 노드 운영 전략 및 수익 모델 분석 (11) | 2025.06.23 |
이더리움(Geth)에 사용되는 키스토어 암호화 및 복호화 설명 (1)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