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반응형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오늘도 공부

BIP44 파생 경로와 코인별 예시 정리 본문

블록체인

BIP44 파생 경로와 코인별 예시 정리

행복한 수지아빠 2025. 10. 1. 15:36
반응형

 

암호화폐 지갑을 다루다 보면, **같은 니모닉(seed phrase)**을 사용해도 코인별로 전혀 다른 주소가 나오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각 체인이 따르는 **BIP44 파생 경로(derivation path)**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BIP44 기본 구조와 주요 코인별 예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BIP44 기본 구조

BIP44는 **HD Wallet(계층적 결정적 지갑)**을 위한 파생 규격입니다.
경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

m / purpose' / coin_type' / account' / change / address_index

각 요소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purpose' → 보통 44' (BIP44 표준 의미)
  • coin_type' → 코인 종류를 구분하는 번호
    • 예: BTC=0, ETH=60, TRX=195, SOL=501 …
  • account' → 여러 개의 독립 지갑 계정을 구분 (보통 0'부터 시작)
  • change
    • 0 = 외부 송수신용 주소
    • 1 = 내부 거스름돈(change) 주소
  • address_index → 실제 생성되는 주소 번호 (0, 1, 2 … 순차 증가)

즉, 같은 시드를 사용해도 coin_type이나 address_index에 따라 전혀 다른 주소가 나오게 됩니다.


코인별 파생 경로 예시

비트코인 (BTC)

  • 첫 번째 주소: m/44'/0'/0'/0/0
  • 두 번째 주소: m/44'/0'/0'/0/1
  • 세 번째 주소: m/44'/0'/0'/0/2

이더리움 (ETH, 메타마스크 등 EVM 계열)

  • 첫 번째: m/44'/60'/0'/0/0
  • 두 번째: m/44'/60'/0'/0/1
  • 세 번째: m/44'/60'/0'/0/2

트론 (TRX)

  • 첫 번째: m/44'/195'/0'/0/0
  • 두 번째: m/44'/195'/0'/0/1
  • 세 번째: m/44'/195'/0'/0/2

솔라나 (SOL)

  • 첫 번째: m/44'/501'/0'/0'
  • 두 번째: m/44'/501'/1'/0'
  • 세 번째: m/44'/501'/2'/0'

⚠️ 솔라나는 특이하게 마지막이 /0' 형태로, 하드닝된 인덱스를 사용합니다.
Phantom, Solflare 같은 대표 지갑들이 이 규칙을 따릅니다.


정리: 왜 중요한가?

  • **같은 니모닉(seed phrase)**이라도
    • BTC는 m/44'/0'/...
    • ETH는 m/44'/60'/...
    • TRX는 m/44'/195'/...
    • SOL은 m/44'/501'/...
    이런 식으로 코인별 coin_type 번호가 다릅니다.
  • 따라서 다른 체인의 지갑을 불러올 때는, 반드시 해당 체인에 맞는 BIP44 파생 경로를 선택해야 정상적인 주소가 나옵니다.

📌 결론:
BIP44는 여러 코인을 하나의 니모닉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지만,
코인별 경로 차이를 이해하고 있어야 헷갈리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