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반응형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오늘도 공부

Polygon CDK(블록체인 개발 키트)에 대해 알아보자 본문

블록체인

Polygon CDK(블록체인 개발 키트)에 대해 알아보자

행복한 수지아빠 2025. 4. 26. 08:51
반응형

Polygon CDK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포함한 심층 조사. 보고서

  • 기술 아키텍처 및 구성 요소
  • 개발 및 배포 방법 (로컬 및 클라우드)
  • 주요 기능 및 커스터마이징 옵션
  • 실제 사용 사례 및 채택한 프로젝트
  • 수수료 정책 및 가스 토큰 설정
  • Polygon 생태계와의 통합 방식

Polygon CDK (체인 개발 키트) 심층 기술 보고서

1. Polygon CDK 개요 및 기술 아키텍처

**Polygon 체인 개발 키트(CDK)**는 이더리움과 호환되는 맞춤형 레이어2 블록체인을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모듈식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개발자는 이 키트를 활용해 영지식(ZK) 기술 기반의 다양한 L2 체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ZK-롤업, Validium(밸리디움), 독립형(Sovereign) L2 등의 구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이러한 L2 체인들은 이더리움의 보안과 생태계를 활용하면서도 자체적인 확장성과 커스터마이징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기술 아키텍처 측면에서 Polygon CDK로 구축되는 체인은 전형적으로 다음의 핵심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집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 실행 계층(Execution Layer): L2의 트랜잭션 실행과 블록 생성을 담당합니다. *시퀀서 노드(Sequencer Node)*가 트랜잭션을 모아서 순서를 결정하고, RPC 엔드포인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체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또한 **영지식 증명 프로버(Prover)**가 포함되어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증명하며, ZK-롤업 설정에서는 이 프로버가 암호학적 유효성 증명을 생성해 L1에 제출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풀 매니저(Pool Manager)*라는 구성 요소도 있어 네트워크 자원 할당을 최적화하여 트랜잭션 처리를 효율화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 데이터 가용성(Data Availability, DA): L2 체인의 트랜잭션 데이터 저장 방식을 의미합니다. Polygon CDK는 온체인 DA오프체인 DA 모두 지원합니다. ZK-롤업 구성에서는 이더리움 L1에 트랜잭션 데이터를 게시하여 완전한 탈중앙성과 보안을 확보하며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Validium 구성에서는 데이터 가용성 위원회(DAC) 등의 오프체인 솔루션에 데이터를 저장해 비용 효율성과 높은 확장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또한 독립형(Sovereign) 체인의 경우 Polygon AggLayer의 비관적 증명(Pessimistic Proof)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별도의 ZK-SNARK 없이도 다른 체인과의 상호 운용성과 보안을 일정 수준 확보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 정산/결제 계층(Settlement Layer): L2에서 실행된 결과를 최종 확정짓는 계층입니다. ZK-롤업 설정에서는 이더리움 상의 브리지 컨트랙트를 통해 영지식 증명을 검증함으로써 L2 트랜잭션을 L1에서 결제(finalize)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Sovereign 구성의 체인들은 AggLayer와 통합되어, AggLayer 상의 암호학적 비관적 증명을 통해 상호운용성과 최종성 확보를 달성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 시퀀서(Sequencer) 및 블록 생성: 시퀀서(Sender) 모듈은 올바른 트랜잭션 순서를 보장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며 L2 블록을 생성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기본적으로 많은 L2 체인은 1인의 시퀀서(권한 증명 노드)로 시작하지만, Polygon CDK 체인은 합의 알고리즘을 통한 다중 시퀀서 구성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퍼미션드 PoA(Authority)나 PoS 합의로 여러 시퀀서 노드가 블록생성에 참여할 수 있으며, Palm Network의 사례처럼 Polygon Edge 기반 PoS 합의로 시퀀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Palm Network takes the next step towards decentralization and migrates to a POS chain using Polygon CDK | by Palm Foundation | Medium) (Palm Network takes the next step towards decentralization and migrates to a POS chain using Polygon CDK | by Palm Foundation | Medium). 이러한 유연한 합의 구성은 체인 운영자가 규제 환경이나 탈중앙화 요구 수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브리지와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각 L2 체인은 이더리움 및 다른 체인과 자산이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브리지 API를 갖추고 있습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Polygon CDK의 표준 브리지 디자인은 공유 ZK 브리지를 통해 여러 L2들을 단일 네트워크처럼 연결하는 것으로, 다수의 L2 간에 유니파이드 브리지를 사용합니다 (Introducing Polygon Chain Development Kit: Launch ZK L2s On Demand to Unlock Unified Liquidity) (Astar Network Launches Astar zkEVM, First L2 Chain on Polygon's AggLayer | CoinMarketCap). 또한 **증명 집계기(Aggregator)**가 있어 ZK-롤업 구성의 경우 다수의 증명을 하나로 모아 검증 효율을 높입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이 모든 요소들이 조합되어 Polygon CDK 체인의 전체 아키텍처를 구성하며, 개발자는 필요에 따라 각 컴포넌트를 교체하거나 구성 변경이 가능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즉, 권장되는 세 가지 기본 구성(롤업, Validium, Sovereign)을 활용하거나, 이를 출발점으로 모듈들을 자유롭게 바꾸어 특정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L2 체인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2. 로컬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배포 방법 (Docker, Kurtosis, Snapchain)

Polygon CDK 기반 체인은 로컬 개발환경부터 클라우드까지 손쉽게 배포할 수 있도록 여러 도구와 패키지를 제공합니다. 개발자는 Docker 컨테이너를 활용해 필요한 컴포넌트를 실행하거나, 전문 툴인 KurtosisSnapchain 등을 사용해 전체 L2 네트워크를 일괄 구성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개발 PC부터 클라우드까지 Polygon CDK 체인은 손쉽게 배포 및 관리가 가능하며, Docker 이미지와 오픈소스 툴킷을 활용해 자체 네트워크를 부트스트랩할 수 있습니다. 또한 Polygon Labs 및 파트너사들이 제공하는 전문 도구들을 통해 테스트넷/메인넷 수준의 배포도 지원되어 개발자 편의성이 높습니다.

3. 주요 기능 및 맞춤 구성 옵션

Polygon CDK의 가장 큰 강점은 모듈식 설계에 따른 유연한 기능 구성입니다 (What is the Polygon CDK? The 5-Minute Explainer (2023)). 개발자는 체인의 목적에 맞춰 합의 메커니즘, 데이터 가용성 방식, 시퀀서 구성, 가스 토큰 등을 자유롭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Polygon CDK가 제공하는 핵심 기능과 맞춤 옵션들입니다:

  • EVM 등가 및 실행 환경: Polygon CDK로 만든 체인은 Ethereum 가상머신(EVM)과 등가성을 지니며, 기존 이더리움 개발 툴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즉 EVM 호환이 보장되어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를 수정 없이 배포할 수 있으며, Truffle, Hardhat, Metamask 등의 도구도 호환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른 VM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도 있어, zk-WASM 등의 특수 VM으로 대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What is the Polygon CDK? The 5-Minute Explainer (2023)).
  • 컨센서스 및 시퀀서 구성: CDK 체인은 단일 시퀀서부터 다중 검증인 체인까지 스펙트럼을 아우르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단일 시퀀서(Sequencer)**가 트랜잭션을 모으고 블록을 생성하는 형태이며, 이는 빠른 처리량과 간결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원하는 경우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도입해 시퀀서를 다변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 노드가 라운드 로빈으로 시퀀서 역할을 수행하거나, BFT 합의를 통해 블록을 검증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Palm Network는 CDK로 전환하면서 우선 PoS 기반 합의를 도입하였고 (Palm Network takes the next step towards decentralization and migrates to a POS chain using Polygon CDK | by Palm Foundation | Medium), 향후 완전한 zkEVM L2로 발전시킬 계획입니다 (Palm Network takes the next step towards decentralization and migrates to a POS chain using Polygon CDK | by Palm Foundation | Medium). 이러한 합의 구성의 모듈성 덕분에, 각 프로젝트는 탈중앙화 수준과 성능 사이의 균형을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가용성 레이어 선택: 앞서 언급했듯이 Rollup vs Validium 방식 중 선택이 가능합니다. ZK-Rollup 구성을 택하면 L2의 모든 데이터가 L1 이더리움에 게시되어 최고 수준의 보안을 확보하며, Validium 구성일 경우 별도의 **데이터 가용성 위원회(DAC)**나 새로운 데이터 네트워크(Celestia 등)를 활용해 대용량 데이터를 오프체인에 보관할 수 있습니다 (What is the Polygon CDK? The 5-Minute Explainer (2023)) (What is the Polygon CDK? The 5-Minute Explainer (2023)). CDK 체인은 기본적으로 신뢰 가능한 DAC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Validium 선택 시 DAC 노드들이 사용자 자산과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유지합니다 (What is the Polygon CDK? The 5-Minute Explainer (2023)). 이로써 개발자는 거래 속도와 비용 최적화를 위해 약간의 데이터 신뢰 가정을 허용할지, 혹은 완전 탈중앙을 유지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유동성 공유와 상호운용성: Polygon CDK의 핵심 비전 중 하나는 모든 체인의 유동성 통합입니다. 이를 위해 Polygon은 **AggLayer (Aggregation Layer)**라는 공통 인터체인 프로토콜을 개발 중이며, CDK 체인들은 자동으로 AggLayer에 연결되어 다른 체인 및 이더리움과의 안전한 상호작용이 가능해집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현재 AggLayer는 테스트넷 단계이지만, 이를 통해 다중 체인이 마치 하나의 거대한 블록체인처럼 동작하여 자산과 유동성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즉, Polygon CDK로 체인을 만들면 별도의 노력 없이 Polygon 생태계 공통의 브리지와 메시지 전달 시스템을 활용하게 되어 이종 체인 간 원활한 자산 이동과 기능 호출이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특히 서로 다른 체인에 분산된 유동성을 한데 모아 활용해야 하는 DeFi나 게임 분야에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Introducing Polygon Chain Development Kit: Launch ZK L2s On Demand to Unlock Unified Liquidity).
  • 네이티브 가스 토큰 및 수수료 커스터마이즈: Polygon CDK 체인은 가스 토큰을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olygon PoS 체인은 MATIC을 가스 토큰으로 사용하듯, CDK 체인도 자체 토큰을 발행해 사용자 수수료 지불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이더리움 메인넷의 ETH 대신 안정적인 가치의 로컬 토큰을 가스로 쓰면 이용자에게 예측 가능한 수수료를 제공할 수 있고, 체인 운영자는 수수료 체계(예: 고정 요금, 토큰 소각 모델 등)를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또한 수수료 수익의 처리나 분배도 맞춤 구성 가능하며, 브릿지된 ETH와 네이티브 토큰 간의 자동 환전 메커니즘도 지원됩니다 (Create A Native Token - Polygon Knowledge Layer). (자세한 내용은 아래 5번 섹션에서 다룹니다.)
  • 보안 및 최종성: 모든 CDK 체인은 영지식 증명을 활용하여 L1의 보안을 이어받습니다. ZK-Rollup 형태의 체인은 각 배치(batch)에 대한 SNARK를 생성해 이더리움에 제출함으로써 신뢰 없이 트랜잭션을 검증받고, 수 분 내에 최종성을 얻습니다 (Introducing Polygon Chain Development Kit: Launch ZK L2s On Demand to Unlock Unified Liquidity). Validium이나 Sovereign 체인의 경우에도 정기적인 상태 루트(commitment)를 L1에 게시하고, AggLayer의 비관적 안전장치를 통해 체인 간 보증을 제공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Polygon CDK는 이러한 보안 구성 역시 모듈화하여, 예컨대 *STB(Staking the Bridge)*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브릿지 검증자를 슬래싱해 보안을 높이는 옵션도 지원합니다. 요컨대, 개발자는 자신이 구축하는 체인의 보안 모델을 다층적으로 설계할 수 있고, 이는 L1 이더리움의 암호경제적 보장다른 외부 데이터 가용성/검증 네트워크를 조합하는 형태로 구현됩니다.

4. Polygon CDK 도입 실제 사례

Polygon CDK는 발표 이후 다수의 프로젝트들에 의해 채택되거나 도입 검토되고 있습니다 (OKX Launches zkEVM Layer 2 Network Powered by Polygon CDK). Immutable, Astar, Palm, Canto 등 다양한 분야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CDK를 활용하여 자신들의 전용 체인을 구축하거나, 기존 체인을 L2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아래에서는 대표적인 사례들을 살펴봅니다:

이외에도 OKX 거래소는 CDK를 이용한 자체 L2인 OKX X Layer를 출시하여 OKB 토큰을 가스료로 쓰는 5천만 사용자 규모의 네트워크를 테스트넷 가동하였고 (OKX Launches zkEVM Layer 2 Network Powered by Polygon CDK), **네어 프로토콜(NEAR)**과 Gnosis Pay, 탈중앙 거래소 IDEX 등도 Polygon CDK 채택을 발표하거나 검토 중입니다 (OKX Launches zkEVM Layer 2 Network Powered by Polygon CDK). 이러한 사례들은 Polygon CDK가 게임, DeFi, NFT, 지불결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기존 L1 블록체인의 L2로의 전환까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멀티체인 패러다임의 새로운 추세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5. 수수료 구조와 맞춤 가스 토큰 지원

수수료(gas fee) 구성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경제 모델을 좌우하는 요소로, Polygon CDK는 이를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가스 토큰(Gas Token)**의 종류와 가스비 계산 방식을 조정함으로써, 체인 운영자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자신만의 토큰 이코노미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네이티브 가스 토큰 지정: CDK 체인은 기본적으로 이더리움의 ETH 대신 자체 네이티브 토큰을 가스비로 사용하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OKX의 X Layer는 OKB토큰을 가스 토큰으로 채택했고 (OKX Launches zkEVM Layer 2 Network Powered by Polygon CDK), Polygon PoS 체인은 MATIC을 사용하는 식입니다. 네이티브 토큰을 가스로 쓰면 토큰 가치가 안정적일 경우 수수료의 예측 가능성이 높아지고 사용자에게 친숙한 통화 단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Polygon CDK 문서에서도 *"네이티브 가스 토큰을 통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수수료"*의 이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운영자는 필요에 따라 가스비의 환율(예: L1 연동 시 ETH 대비 환산율)을 정책적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수수료 모델 커스터마이징: Polygon CDK는 EIP-1559 기반의 기본 가스 모델을 따르면서도, 이를 확장하거나 수정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기본 가스비(base fee) 상승/하락 폭 조정, 우선 수수료(priority fee) 설정, 최대 블록 가스 한도 조정 등이 가능합니다. 더 나아가 트랜잭션 수수료를 특정 계정에 리디렉션하거나 소각하는 로직도 추가할 수 있어, 체인 고유의 경제 설계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일부 CDK 체인은 수수료 리베이트멀티-테이어 수수료 구조(예: L2 수수료 + L1 포함 수수료)를 도입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조정은 모두 CDK 프레임워크의 구성 파일이나 제네시스 파라미터를 통해 이뤄지며, 코드를 포크하지 않고도 정책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GitHub - 0xPolygon/kurtosis-cdk: A Kurtosis package that deploys a private, portable, and modular Polygon CDK devnet) (GitHub - 0xPolygon/kurtosis-cdk: A Kurtosis package that deploys a private, portable, and modular Polygon CDK devnet).
  • L1 수수료와의 연계: L2 체인은 이더리움 L1에 증명을 제출하거나 데이터를 올릴 때 수수료(ETH로 지불)를 발생시킵니다. Polygon CDK 환경에서는 이러한 L1 비용을 L2 수수료 모델에 녹여내는 전략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시퀀서 노드는 사용자가 지불한 L2 가스비의 일부를 모아 L1 트랜잭션 수수료로 사용하며, 부족할 경우 운영자 예치금에서 충당하는 형태입니다. 반대로 L1 수수료가 낮아 이익이 남으면 이를 시퀀서 인센티브로 삼을 수 있습니다. Effective Gas Price 전략을 통해 L2 가스비가 L1 가스비, L2 네트워크 부하, 트랜잭션 복잡도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도록 튜닝할 수 있습니다 (OKX Launches zkEVM Layer 2 Network Powered by Polygon CDK) (OKX Launches zkEVM Layer 2 Network Powered by Polygon CDK). 이렇게 함으로써 L2 사용자에게는 일관되고 저렴한 수수료를 제공하면서, 전체 시스템은 L1 비용을 지속적으로 커버하도록 유지됩니다.
  • 브릿지된 토큰 및 수수료 결제: Polygon의 **통합 브리지(Unified Bridge)**를 통해 사용자는 L1의 ETH를 L2의 가스 토큰으로 교환하듯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Create A Native Token - Polygon Knowledge Layer).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ETH를 입금하면 L2에서는 해당 ETH가 **랩드 토큰(예: WETH)**으로 보유되고, 동등한 가치의 L2 가스 토큰이 사용자 계정에 지급되어 수수료 결제에 쓰이는 식입니다 (Create A Native Token - Polygon Knowledge Layer). 반대로 L2 토큰을 L1으로 출금할 때는 해당 토큰을 ETH로 되돌려주는 메커니즘이 작동합니다. 이러한 자동 환전 및 브리징 기능 덕분에 사용자는 토큰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체인을 사용할 수 있고, 체인 운영자는 거버넌스 토큰에 가스 수요를 만들어 토큰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Polygon CDK는 수수료의 통제권을 체인 개발자에게 부여하여 유연한 과금 정책을 구현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는 더 나은 경제적 경험을, 운영자에게는 수익 모델과 인센티브 구조 설계의 자유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6. 폴리곤 생태계와의 통합 (AggLayer, Polygon zkEVM, 브리지)

Polygon CDK로 생성된 모든 체인은 폴리곤 2.0 비전 아래 하나로 연결된 거대한 생태계의 일부로 설계됩니다 (Introducing Polygon Chain Development Kit: Launch ZK L2s On Demand to Unlock Unified Liquidity).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Aggregation Layer(AggLayer)**와 공통 브리지 인프라이며, 기존의 Polygon zkEVM 체인도 이 생태계의 한 구성원으로서 CDK 체인들과 상호운용됩니다.

  • Aggregation Layer (집계 레이어): AggLayer는 현재 테스트넷 단계에 있는 신뢰 없는 크로스체인 상호운용 프로토콜로, 여러 개의 Polygon 체인(L2 및 기존 PoS 체인 등)을 하나의 유니파이드 네트워크처럼 결속시킵니다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Build ZK powered blockchains). AggLayer에 연결된 체인들은 통합된 유동성 풀을 공유하고, 원클릭으로 이더리움의 모든 유동성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Introducing Polygon Chain Development Kit: Launch ZK L2s On Demand to Unlock Unified Liquidity). 구체적으로 AggLayer는 각 체인의 검증자나 시퀀서들이 Pessimistic Proof(비관적 증명)라는 교차 검증 수단을 통해 서로의 상태를 신뢰할 수 있게 하며, 메시지 전달 및 토큰 전송을 표준화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예를 들어 한 CDK 체인에서 다른 CDK 체인으로 토큰을 보낼 때, AggLayer는 해당 트랜잭션을 한 번의 사용자 승인으로 처리하고, 만약 문제가 발생하면 원체인으로 롤백하는 안전장치를 제공합니다 (astar.network) (astar.network). 이러한 AggLayer의 도입으로 멀티체인 DeFi크로스체인 DApp이 실현될 수 있으며, Polygon CDK 체인은 출시와 동시에 이 AggLayer 네트워크의 잠재적 일부가 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참고로 2024년 초 AggLayer의 테스트넷 이벤트들이 개최되고 있으며, 프로젝트 Lumia 등이 AggLayer 상에서 RWA 토큰화를 진행 중입니다.)
  • Polygon zkEVM과의 연계: Polygon zkEVM은 Polygon Labs가 2023년 메인넷 베타를 출시한 이더리움 레이어2 ZK 롤업입니다. Polygon CDK는 **Polygon zkEVM의 기술 스택(Plonky2 ZK프로버, 브릿지 컨트랙트 등)**을 기반으로 하며, 사실상 Polygon zkEVM = CDK의 참조 구현이라 볼 수 있습니다 (Introducing Polygon Chain Development Kit: Launch ZK L2s On Demand to Unlock Unified Liquidity). CDK를 통해 배포된 새로운 체인들은 네이티브하게 Polygon zkEVM과 상호운용되는데, 이는 두 체인이 AggLayer의 통합 브리지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Astar Network Launches Astar zkEVM, First L2 Chain on Polygon's AggLayer | CoinMarketCap). 예를 들어 앞서 소개한 Astar zkEVM은 Polygon zkEVM과 동일한 브리지에 연결되어, 두 체인 간 자산을 별도 허가나 외부 브리지 없이 직접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astar.network) (Astar Network Launches Astar zkEVM, First L2 Chain on Polygon's AggLayer | CoinMarketCap). 이는 CDK 체인들이 서로 및 기존 Polygon 체인과 통합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을 의미합니다. 사용자는 마치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 안에서 지갑을 이동하는 느낌으로, Polygon zkEVM에서 실행되는 DApp과 다른 CDK 체인의 DApp을 원활히 오갈 수 있게 됩니다. Polygon zkEVM 자체도 CDK 생태계의 일원으로서 계속 진화하고 있으며, 향후 모든 CDK 체인과 함께 Polygon 2.0의 멀티체인 아키텍처를 구성하게 될 것입니다 (OKX Launches zkEVM Layer 2 Network Powered by Polygon CDK) (OKX Launches zkEVM Layer 2 Network Powered by Polygon CDK).
  • 통합 브리지와 메시지 패싱: Polygon CDK 생태계의 또 다른 통합 요소는 브리지 인프라입니다. 전통적으로 각 롤업은 저마다 L1과 연결되는 브리지 컨트랙트를 가져야 했지만, Polygon은 LXLY 브리지라는 개념을 통해 다중 L2에 걸친 표준 브리지를 실현했습니다 (What is the Polygon CDK? The 5-Minute Explainer (2023)). AggLayer의 핵심 구성요소인 이 브리지는, 예컨대 L2 X의 자산을 L2 Y로 보내는 과정을 L2 X -> L1 (락업) -> L2 Y (민팅) 식으로 단순화해 줍니다. 모든 CDK 체인은 이 표준 브리지 프로토콜을 채택하므로, 사용자는 어느 체인을 쓰든 유사한 브릿징 인터페이스를 접하게 됩니다 (What is the Polygon CDK? The 5-Minute Explainer (2023)). 또한 개발자는 별도의 브리지 계약을 구현할 필요 없이 CDK가 제공하는 것을 사용하면 되므로 개발 편의성이 높습니다. 메시지 패싱의 경우에도, L2 스마트 컨트랙트가 다른 체인이나 L1의 컨트랙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공통 메커니즘이 제공됩니다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AggLayer를 통한 메시지 패싱은 **원자적(atomic)**으로 처리되어 중간에 실패 시 자동 취소됨으로써 개발자가 복잡한 보정 로직을 짤 필요가 없게 도와줍니다 (astar.network). 이러한 브리지/메시지 인프라는 Polygon CDK 체인의 경쟁력으로, 멀티체인 간의 UX 단절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크로스체인 운영을 가능케 합니다.

결론적으로, Polygon CDK로 구축된 체인은 폴리곤의 광범위한 생태계와 즉시 연결됩니다. AggLayer 및 통합 브리지를 통해 유동성의 공유와 확장성의 극대화라는 Polygon 2.0의 목표에 기여하며, 각기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블록체인들이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동작하는 새로운 환경을 만들어냅니다 (OKX Launches zkEVM Layer 2 Network Powered by Polygon CDK) (OKX Launches zkEVM Layer 2 Network Powered by Polygon CDK). 이는 개발자에게는 네트워크 효과를, 사용자에게는 원활한 체험을 제공하며, 결국 이더리움의 확장과 웹3 대중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자료: Polygon 공식 문서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Overview - Polygon Knowledge Layer), Polygon 블로그 및 파트너사 발표 (Introducing Polygon Chain Development Kit: Launch ZK L2s On Demand to Unlock Unified Liquidity) (OKX Launches zkEVM Layer 2 Network Powered by Polygon CDK), Thirdweb 기술 설명 (What is the Polygon CDK? The 5-Minute Explainer (2023)) (What is the Polygon CDK? The 5-Minute Explainer (2023)) 등을 종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에서 <SBT> 는 무엇인가  (1)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