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공부
블록체인에서 <SBT> 는 무엇인가 본문
🇯🇵NTT 도코모, 신입사원 입사식에서 SBT 발급 (NFT)
🎏4월 1일, 일본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NTT 도코모 그룹의 2025년도 합동 입사식에서 NFT가 실제로 활용됐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도코모 그룹 23개사에서 약 1,500명의 신입사원이 참석했습니다.
📱NTT 도코모는 일본 최대의 통신사 중 하나로, NTT(일본전신전화공사) 그룹 산하에서 모바일 통신, 디지털 서비스, R&D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입사식에서는 신입사원에게 입사 증명서가 SBT형태로 발급됐으며, 행사 중 진행된 추리형 게임의 열쇠나 보상으로도 사용됐습니다. 게임 결과에 따라 발급되는 이벤트 티켓도 NFT 형태로 제공되어, 참여자의 달성도에 따라 다른 종류의 티켓을 받는 구조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시스템은 NFT 마케팅 플랫폼 ‘민트 몬스터(MintMonster)’를 기반으로 했으며, 여기에 NTT 디지털의 월렛 솔루션인 ‘스크램블 월렛 수트’가 통합되어 제공됐습니다.
그럼 SBT는 무엇인가
블록체인에서 SBT는 Soulbound Token의 줄임말이에요.
'Soulbound'는 '영혼에 묶인'이라는 뜻인데, 이 개념을 그대로 따서 양도 불가능한 NFT라고 보면 됩니다.
✅ SBT(Soulbound Token)의 핵심 개념
항목 설명
정의 | 특정 개인(지갑)에 영구적으로 귀속되어 양도할 수 없는 NFT |
특징 | 일반 NFT처럼 판매하거나 거래할 수 없음 |
사용 목적 | 신원 증명, 학위 인증, 경력 증명 등 영구적이고 신뢰 기반의 정보 저장 |
보관 방식 | 사용자의 블록체인 지갑(Soul)에 저장됨 |
📌 SBT는 왜 필요한가?
기존의 NFT는 누구에게나 전송 가능하고, 소유권이 자주 바뀌는 자산 중심이에요.
하지만 신분 증명이나 졸업장, 자격증처럼 '양도되면 안 되는 정보'는
개인에게 귀속되어야 하며, 조작이 불가능해야 하죠.
SBT는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고 만들어졌어요.
📘 예시로 보는 SBT 활용
사용 예 설명
대학교 졸업장 | 학생 지갑에 발급되며,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없음 |
의료 기록 | 환자의 지갑에 저장, 병원 간 공유 가능하되 소유권은 환자에게 있음 |
DAO 기여 이력 | 커뮤니티 기여자의 지갑에 기록, 참여 이력 증명 가능 |
취업 이력서 | 기업이 채용 후 근무 이력을 SBT로 발급 가능 |
🔒 한계나 고려 사항
- 지갑을 잃어버리면? → 복구 시스템 필요
- 발급자(예: 학교)가 신뢰할 수 없으면? → 공신력 있는 기관만 발급해야 함
- 개인정보 유출 우려 → 일부 정보는 암호화하거나 오프체인에 저장 필요
이런 이유로 SBT는 탈중앙화 신원(DID) 시스템과 함께 미래의 Web3 기반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어요.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onweb에 NextJs15 이슈 (1) | 2025.07.08 |
---|---|
에이셔 노드 운영 전략 및 수익 모델 분석 (8) | 2025.06.23 |
이더리움(Geth)에 사용되는 키스토어 암호화 및 복호화 설명 (1) | 2025.05.21 |
우분투에서 fish 터미널 셸 설치 및 사용법 (0) | 2025.05.19 |
Polygon CDK(블록체인 개발 키트)에 대해 알아보자 (4)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