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반응형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오늘도 공부

프로그래밍 기본기가 주는 불공평한 경쟁력 본문

개발상식

프로그래밍 기본기가 주는 불공평한 경쟁력

행복한 수지아빠 2025. 10. 1. 09:47
반응형
 

Issue 43 - Fundamentals Give You an Unfair Advantage

Learn Fundamentals. Who is Hiring. Troubleshooting Flutter-Unity. Extension Type and Union Types in Dart. Android API Humor. AI history. Impossible Job Search.Dependency Validator and much more.

widgettricks.substack.com

위 내용을 각색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개발자로서 성장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최신 프레임워크를 배우는 것? 트렌디한 기술 스택을 익히는 것? 아니면 더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습득하는 것일까요?

답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바로 **기본기(Fundamentals)**입니다.

기본기가 중요한 이유

자동차 운전에 비유하기

프로그래밍 기본기를 배우는 것은 자동차 운전을 배우는 것과 같습니다. 운전을 배울 때 테슬라와 토요타의 와이퍼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외우는 것부터 시작하지 않습니다. 대신 핸들 조작법, 브레이크 사용법, 가속 페달 조작법 같은 핵심 개념을 먼저 배웁니다.

이러한 기본 원리를 마스터하고 나면, 어떤 차량이든, 어떤 도로에서든 운전할 수 있습니다. 차종이 바뀌어도, 도로 환경이 달라져도 핵심 원리는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래밍도 마찬가지입니다. 기본기를 제대로 익히면 어떤 프레임워크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작업할 수 있습니다. 이런 개발자들은 시장에서 높은 수요를 받고 있습니다.

Steve McConnell의 통찰

소프트웨어 개발의 고전으로 불리는 "Code Complete 2"의 저자 Steve McConnell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안에서(in)' 프로그래밍을 배우지 말고, 프로그래밍 언어 '속으로(into)' 프로그래밍을 배워라."

이 말의 의미는 명확합니다. 특정 언어의 문법이나 라이브러리에 집중하기보다는, 프로그래밍의 근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어떤 언어에든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실전 예제: 검색 기능 구현하기

웹사이트에서 상품 검색 기능을 구현한다고 가정해봅시다. 많은 개발자들이 저지르는 실수는 바로 "어떤 라이브러리 함수를 사용할 것인가?"에 먼저 집중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기본기가 탄탄한 개발자는 다르게 접근합니다:

1단계: 문제의 본질 이해하기

먼저 어떤 종류의 검색이 필요한지 파악합니다:

선형 검색(Linear Search)이 필요한가?

  • 정렬되지 않은 작은 데이터셋
  • 순차적으로 모든 항목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
// 선형 검색 예제
function linearSearch(products, targetName) {
  for (let i = 0; i < products.length; i++) {
    if (products[i].name === targetName) {
      return products[i];
    }
  }
  return null;
}

// 사용 예
const products = [
  { name: "노트북", price: 1200000 },
  { name: "마우스", price: 30000 },
  { name: "키보드", price: 80000 }
];

const result = linearSearch(products, "마우스");
console.log(result); // { name: "마우스", price: 30000 }

이진 검색(Binary Search)이 적합한가?

  • 정렬된 대규모 데이터셋
  • O(log n)의 시간 복잡도가 필요한 경우
// 이진 검색 예제 (가격으로 정렬된 상품 배열)
function binarySearch(sortedProducts, targetPrice) {
  let left = 0;
  let right = sortedProducts.length - 1;
  
  while (left <= right) {
    const mid = Math.floor((left + right) / 2);
    
    if (sortedProducts[mid].price === targetPrice) {
      return sortedProducts[mid];
    }
    
    if (sortedProducts[mid].price < targetPrice) {
      left = mid + 1;
    } else {
      right = mid - 1;
    }
  }
  
  return null;
}

// 사용 예 (가격 기준 정렬된 배열)
const sortedProducts = [
  { name: "마우스", price: 30000 },
  { name: "키보드", price: 80000 },
  { name: "노트북", price: 1200000 }
];

const result = binarySearch(sortedProducts, 80000);
console.log(result); // { name: "키보드", price: 80000 }

특정 속성 검색인가?

  • 여러 속성 중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필터링
  • 복잡한 조건이 필요한 경우
// 속성 기반 검색 예제
function searchByProperties(products, criteria) {
  return products.filter(product => {
    for (let key in criteria) {
      if (product[key] !== criteria[key]) {
        return false;
      }
    }
    return true;
  });
}

// 사용 예
const products = [
  { name: "게이밍 노트북", category: "전자기기", price: 1500000, brand: "삼성" },
  { name: "오피스 노트북", category: "전자기기", price: 900000, brand: "LG" },
  { name: "무선 마우스", category: "액세서리", price: 50000, brand: "로지텍" }
];

const result = searchByProperties(products, {
  category: "전자기기",
  brand: "삼성"
});

console.log(result); 
// [{ name: "게이밍 노트북", category: "전자기기", price: 1500000, brand: "삼성" }]

전문 검색(Full-text Search)이 필요한가?

  • 상품 객체의 모든 텍스트 필드를 대상으로 검색
  • 부분 일치, 대소문자 무시 등이 필요한 경우
// 전문 검색 예제
function fullTextSearch(products, searchTerm) {
  const lowerSearchTerm = searchTerm.toLowerCase();
  
  return products.filter(product => {
    // 모든 속성값을 문자열로 변환하여 검색
    const searchableText = Object.values(product)
      .join(' ')
      .toLowerCase();
    
    return searchableText.includes(lowerSearchTerm);
  });
}

// 사용 예
const products = [
  { name: "삼성 갤럭시 노트북", description: "고성능 업무용 노트북", price: 1200000 },
  { name: "LG 그램", description: "초경량 노트북", price: 1400000 },
  { name: "애플 매직 마우스", description: "무선 블루투스 마우스", price: 89000 }
];

const result = fullTextSearch(products, "노트북");
console.log(result);
// 첫 두 개의 상품이 반환됨

2단계: 언어에 구애받지 않는 접근

이러한 검색 알고리즘의 원리를 이해하면,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Python에서의 이진 검색:

def binary_search(sorted_products, target_price):
    left, right = 0, len(sorted_products) - 1
    
    while left <= right:
        mid = (left + right) // 2
        
        if sorted_products[mid]['price'] == target_price:
            return sorted_products[mid]
        
        if sorted_products[mid]['price'] < target_price:
            left = mid + 1
        else:
            right = mid - 1
    
    return None

Dart(Flutter)에서의 속성 검색:

List<Product> searchByProperties(
  List<Product> products, 
  Map<String, dynamic> criteria
) {
  return products.where((product) {
    for (var entry in criteria.entries) {
      if (product.toJson()[entry.key] != entry.value) {
        return false;
      }
    }
    return true;
  }).toList();
}

알고리즘의 핵심 로직은 동일합니다. 문법만 다를 뿐이죠.

왜 모두가 기본기를 공부하지 않을까?

기본기가 이렇게 중요하다면 왜 모든 개발자가 기본기를 공부하지 않을까요?

이는 "운동이 건강에 좋다면 왜 모두가 헬스장에 가지 않는가?"라는 질문과 같습니다.

답은 간단합니다. 기본기 학습은 어렵기 때문입니다.

  • 개념을 깊이 파고들기는 어렵습니다
  •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힘듭니다
  • 즉각적인 결과가 보이지 않습니다
  • 당장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배우는 것이 더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기본기 학습을 회피합니다.

하지만 바로 이것이 기회입니다.

기본기가 주는 불공평한 경쟁력

어려운 일을 해내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기본기를 제대로 익힌 개발자는 취업 시장에서 엄청난 경쟁력을 갖게 됩니다.

실전에서의 차이

기본기가 없는 개발자:

// "배열에서 중복 제거하는 라이브러리 함수가 뭐더라?"
// 구글 검색 → Stack Overflow 복붙 → 작동은 하는데 왜 작동하는지 모름
const unique = [...new Set(array)];

기본기가 탄탄한 개발자:

// "Set 자료구조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특성이 있지.
// 해시 테이블 기반이라 O(1)로 조회가 가능하고,
// spread operator로 다시 배열로 변환할 수 있어."

// 상황에 따라 다른 접근도 가능
// 1. Set 사용 (간결하고 빠름)
const unique1 = [...new Set(array)];

// 2. filter 사용 (조건부 중복 제거 가능)
const unique2 = array.filter((item, index) => 
  array.indexOf(item) === index
);

// 3. reduce 사용 (복잡한 객체 중복 제거)
const unique3 = array.reduce((acc, item) => {
  if (!acc.find(x => x.id === item.id)) {
    acc.push(item);
  }
  return acc;
}, []);

기본기가 만드는 차이

  1. 문제 해결 능력: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근본 원리에서 해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2. 학습 속도: 새로운 기술을 배울 때 기존 지식과 연결하여 빠르게 습득합니다.
  3. 코드 품질: 왜 이렇게 작성했는지 설명할 수 있고, 더 나은 대안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4. 기술 부채 감소: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확장 가능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합니다.

어떤 기본기를 학습해야 할까?

핵심 컴퓨터 과학 개념

1. 자료구조

  • 배열, 링크드 리스트, 스택, 큐
  • 트리, 그래프
  • 해시 테이블
  • 각각 언제, 왜 사용하는지 이해

2. 알고리즘

  • 정렬 알고리즘 (퀵소트, 머지소트, 힙소트)
  • 검색 알고리즘
  • 동적 프로그래밍
  • 그래프 순회 (DFS, BFS)

3.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

// O(n²) - 비효율적
function findDuplicates(arr) {
  const duplicates = [];
  for (let i = 0; i < arr.length; i++) {
    for (let j = i + 1; j < arr.length; j++) {
      if (arr[i] === arr[j]) {
        duplicates.push(arr[i]);
      }
    }
  }
  return duplicates;
}

// O(n) - 효율적
function findDuplicatesOptimized(arr) {
  const seen = new Set();
  const duplicates = new Set();
  
  for (const item of arr) {
    if (seen.has(item)) {
      duplicates.add(item);
    } else {
      seen.add(item);
    }
  }
  
  return Array.from(duplicates);
}

4. 디자인 패턴

  • 싱글톤, 팩토리, 옵저버 패턴 등
  • 언제 어떤 패턴을 사용할지 판단

5. 네트워킹 기초

  • HTTP/HTTPS 프로토콜
  • RESTful API 설계 원칙
  • 동기/비동기 통신

6. 데이터베이스 기초

  • SQL vs NoSQL
  • 인덱싱
  • 트랜잭션과 ACID

실천 방법

1. 문제부터 이해하기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에 바로 뛰어들지 마세요. 먼저 질문하세요:

  • 이 문제의 본질은 무엇인가?
  • 어떤 자료구조가 적합한가?
  • 시간/공간 복잡도 요구사항은?
  • 확장성은 고려해야 하는가?

2. 손으로 직접 구현해보기

라이브러리 함수를 사용하기 전에 직접 구현해보세요:

// Array.prototype.map을 직접 구현
function myMap(array, callback) {
  const result = [];
  
  for (let i = 0; i < array.length; i++) {
    result.push(callback(array[i], i, array));
  }
  
  return result;
}

// 사용
const numbers = [1, 2, 3, 4, 5];
const doubled = myMap(numbers, num => num * 2);
console.log(doubled); // [2, 4, 6, 8, 10]

이런 연습을 통해 내부 동작을 이해하게 됩니다.

3. 다양한 언어로 같은 문제 풀기

같은 알고리즘을 여러 언어로 구현하면 언어 독립적인 사고가 가능해집니다.

4. 코드 리뷰와 리팩토링

자신의 코드를 돌아보고 개선점을 찾으세요:

  • 더 효율적인 알고리즘은 없는가?
  • 더 적합한 자료구조는 없는가?
  • 가독성을 높일 방법은?

마치며

프로그래밍 기본기는 하루아침에 쌓이지 않습니다. 꾸준한 학습과 실천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반드시 보상받게 됩니다.

기본기가 탄탄한 개발자는:

  • 어떤 기술 스택에서도 빠르게 적응합니다
  • 복잡한 문제를 근본부터 해결할 수 있습니다
  • 팀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됩니다
  • 취업 시장에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습니다

어렵지만 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일입니다. 기본기를 배우세요. 이것이 여러분에게 불공평한 경쟁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