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공부
커서 업데이트 내용 (2025.04.03) 본문
아래글은 위 내용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 커서(Cursor) 최신 업데이트 정리
🔧 1. 커서의 새로운 ‘매뉴얼 모드’ 도입
기존의 '에디트 모드(Edit Mode)'와 '에이전트 모드(Agent Mode)'는 이번 업데이트로 변경되었는데요. 새롭게 등장한 **‘매뉴얼 모드(Manual Mode)’**는 사용자가 자주 쓰는 AI 모델과 환경 설정을 저장하고, Ctrl + L 단축키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덕분에 다양한 개발 환경에서 반복되는 세팅을 일일이 다시 설정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불러올 수 있어요.
🧵 2. 병렬 채팅 탭 지원: 여러 대화 동시에!
기존에는 새 대화를 시작하면 기존 채팅이 사라졌기 때문에, 다시 이전 대화로 돌아가려면 히스토리에서 찾아야 했죠.
하지만 이제는 Ctrl + T를 누르면 새로운 채팅 탭이 병렬로 열리는 기능이 도입되어, 동시에 여러 대화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어요.
💡 만약 단축키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설정 메뉴에서 단축키를 활성화해 주세요!
🧠 3. 코드베이스 분석 자동화 및 시간 단축
참조 기능 중 하나였던 ‘코드베이스 선택 옵션’이 사라졌지만, 이는 오히려 더 간편해진 변화입니다.
이제 커서는 자동으로 코드를 분석하며, 분석 속도도 개선되어 1분 이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빨라졌어요.
🛰️ 4. MCP 서버 안정성 대폭 향상
이번 업데이트에서 커서가 특히 강조한 것은 MCP(Multi-Channel Plugin) 서버의 안정성입니다.
MCP는 다양한 AI 모델이 외부 도구(API 등)를 일관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표준 프레임워크로, 커서뿐 아니라 클로드(Claude), GPT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용이 가능하죠.
🧰 5. 직접 MCP 도구 만들기 – 실전 가이드
이제 실습입니다. MCP를 활용하면 AI에게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도구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 급식 정보를 알려주는 AI를 만들고 싶다면?
📌 Step 1: API 정보 준비하기
- 교육정보 포털에서 제공하는 급식 정보 API를 찾아 활용합니다.
- API 설명서에 나와 있는 요청 방식, 파라미터, 인증 방식 등을 참고해 주세요.
📌 Step 2: 커서에서 에이전트에게 도구 생성 요청
- MCP 도구 개발용 템플릿을 선택 (TypeScript 등)
- “이 페이지를 참고해서 급식 정보를 알려주는 MCP 도구를 만들어줘”라는 식으로 요청
- 커서가 알아서 코드 생성 + 오류 수정까지 자동 처리
📌 Step 3: 로컬 테스트 및 실행
- Node.js 설치 필요
- npm run dev 또는 npm start 명령어로 로컬 서버 실행
🌐 6. 클로드 또는 커서에 도구 연결하기
- MCP 도구를 JSON 형식으로 설정
- 클로드: 설정 → 개발자 → config 파일 수정 → 붙여넣기
- 커서: MCP 메뉴에서 도구 추가 → JSON 붙여넣기 → 자동 적용
💡 이제부터는 클로드나 커서에서 급식 정보를 묻는 요청을 하면, 자동으로 해당 도구가 연결되어 정확한 응답을 제공합니다!
🛒 7. 내가 만든 MCP 도구, 마켓에 배포하기
도구를 나만 쓰기 아깝다면?
Smee 또는 MCP 마켓에 등록하면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어요.
- 기초부(GitHub 등) 저장소 만들기
- MCP 마켓에 애드 서버(서버 추가) 요청
- 자동으로 서버 업로드 및 등록 완료!
✨ 마무리하며…
이번 커서 업데이트는 단순한 기능 추가가 아니라, AI 도구 생태계와의 연결성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린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MCP 도구와의 연동은 누구나 직접 AI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비전공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요.
👉 AI가 만드는 세상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고 싶다면, 지금 바로 커서와 MCP 도구 제작에 도전해 보세요!
📎 보너스: MCP 도구 제작에 참고할 만한 자료
'AI > Curs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rsor (AI IDE)의 작동 방식 이해하기 (0) | 2025.03.18 |
---|---|
Flutter Cursor Rule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