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반응형
오늘도 공부
# 기본 FFmpeg 사용 가이드 본문
반응형
FFmpeg 사용 가이드
본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FFmpeg 명령어와 필터에 대한 상세 설명입니다.
기본 설치
macOS
brew install ffmpeg
Ubuntu/Debian
sudo apt-get install ffmpeg
Windows
- FFmpeg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 압축 해제 후 시스템 환경 변수 PATH에 추가
주요 사용 사례
1. 오디오 변환 (WAV 포맷)
ffmpeg -i input.mp3 -acodec pcm_s16le -ar 16000 -ac 1 output.wav
-acodec pcm_s16le
: 16비트 PCM 포맷으로 변환-ar 16000
: 샘플링 레이트 16kHz-ac 1
: 모노 채널
2. 더빙 오디오 합성
ffmpeg -i video.mp4 -i dub.mp3 -filter_complex \
"[0:a]volume=0.2[bg]; \
[bg][1:a]amix=inputs=2:duration=first[a]" \
-map 0:v -map "[a]" output.mp4
volume=0.2
: 원본 오디오 볼륨 20%로 감소amix=inputs=2
: 두 오디오 트랙 믹싱duration=first
: 첫 번째 입력 길이에 맞춤
3. 자막 추가
ffmpeg -i input.mp4 -vf \
"drawtext=textfile=subs.txt:reload=1:fontfile=/path/to/font.ttf: \
fontcolor=white:fontsize=24:box=1:boxcolor=black@0.5: \
x=(w-text_w)/2:y=h-80" \
output.mp4
reload=1
: 자막 파일 실시간 로드box=1
: 자막 배경 박스 추가boxcolor=black@0.5
: 반투명 검은색 배경
4. 다중 자막 (영어/한글)
ffmpeg -i input.mp4 -vf \
"drawtext=textfile=eng.txt:fontcolor=white:y=h-80, \
drawtext=textfile=kor.txt:fontcolor=white:y=h-40" \
output.mp4
- 영어 자막: 아래에서 80픽셀
- 한글 자막: 아래에서 40픽셀
자주 사용하는 필터
drawtext 필터
drawtext=
textfile=자막파일경로: # 자막 텍스트 파일
reload=1: # 실시간 파일 로드
fontfile=폰트파일경로: # 폰트 파일
fontcolor=색상: # 글자 색상
fontsize=크기: # 글자 크기
box=1: # 배경 박스 사용
boxcolor=색상@투명도: # 박스 색상과 투명도
x=위치: # 가로 위치
y=위치 # 세로 위치
색상 지정
white
: 흰색yellow
: 노란색black@0.5
: 50% 투명한 검은색#FFFFFF
: RGB 색상코드
위치 지정
x=(w-text_w)/2
: 가로 중앙y=h-80
: 아래에서 80픽셀x=10
: 왼쪽에서 10픽셀y=10
: 위에서 10픽셀
오디오 필터
volume=0.2 # 볼륨 조절 (20%)
atempo=1.5 # 재생 속도 조절 (1.5배)
adelay=1000 # 지연 시간 (1초)
amix=inputs=2 # 오디오 믹싱
유용한 팁
1. 영상 정보 확인
ffmpeg -i video.mp4
2. 오디오 추출
ffmpeg -i video.mp4 -vn audio.mp3
3. 특정 구간 추출
ffmpeg -i input.mp4 -ss 00:00:30 -t 00:00:10 output.mp4
-ss
: 시작 시간-t
: 지속 시간
4. 화질 설정
ffmpeg -i input.mp4 -c:v libx264 -crf 23 output.mp4
crf
: 품질 설정 (0-51, 낮을수록 고품질)
5. 오류 해결
폰트 문제
- 시스템에 해당 폰트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 폰트 경로가 올바른지 확인
권한 문제
- 입출력 파일의 읽기/쓰기 권한 확인
- 임시 파일 생성 권한 확인
메모리 부족
-max_muxing_queue_size 1024
옵션 추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