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올해는 머신러닝이다.

딥시크(Deepseek) 정보 본문

카테고리 없음

딥시크(Deepseek) 정보

행복한 수지아빠 2025. 1. 28. 13:28



🟢 딥시크 관련 이야기

오늘 하루 종일 트위터에 딥시크 이야기가 도배가 되고 있어서 안볼래야 안 볼 수가 없었는데요. 판 돌아가는걸 좀 알아야되서 이것저것 찾아본거 대충 정리해봤습니다.

제가 전문가가 아닌만큼 글이 왜곡될 수도 있으니 참고정도만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상황

1. 성능 (가성비)

1월 20일 공개된 딥시크의 R1 추론모델은 오픈AI의 o1 추론모델과 거의 맞먹는 수준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음

심지어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압도적인 가성비를 보여주고있는데 사용자 뿐만 아니라 운영비용 역시 openAI o1 모델 대비 15%~50% 수준으로 알려짐

2. 출신

중국의 퀀트사에서 남는 GPU 리소스 사용하려고 만든 사이드 프로젝트로 시작 + 투자비용도 OpenAI의 ChatGPT를 비롯한 타 LLM 모델 대비 말도 안되게 저렴한 수준으로 만들어졌음

3. 신뢰도 (오픈소스)

아예 오픈소스로 공개해버렸음, 중국산을 믿을 수 있겠냐? 라는 말이 안통함, 실제 개발자들은 웹이 아닌 오픈소스를 이용해 로컬에 딥시크를 설치하고 시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음

✅ 파급력

1. 도대체 어떻게 만들었나?

딥시크 LLM 모델 개발에 사용된 GPU는 엔비디아의 H800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미국의 대중수출 제재 영향을 받아 연산능력을 의도적으로 저하시킨 모델

"이걸 가지고 도대체 어케만듬?"이 주요한 키포인트가 되고 있는데 대충 두 가지로 의견이 나뉘는 듯함

하나는 엔비디아가 대중 무역제재를 우회해서 중국시장에 GPU를 공급한거 아니냐 라는 의견이고 다른 하나는 LLM을 만드는데 고성능 GPU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건가? 라는 의견

만약 전자일 경우 엔비디아는 트럼프 정부의 칼날을 맞을 수 있고 후자라면 GPU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서 둘다 엔비디아에는 반갑지 않은 소리가 될 수 있다는 전망

2. 미국의 AI 파워에 대한 의문성

말도안되는 가성비와 시간으로 뚝딱 뽑아낸 딥시크가 미치고있는 영향 중 가장 큰 요소인데 그간 수 년간 수십배 많은 돈을 써가면서 개발해온 미국 AI 기업들에 대한 의문을 던지고 있음

이미 근소한 차이로 좁혀졌는데 조만간 밀리는거 아니냐라는 이야기까지 나오면서 업계 전반에 큰 충격을 안긴듯

이 영향으로 미국, 일본의 빅테크 주가 전반적으로 하락폭을 보이고 있음

3. 보안이슈

딥시크가 이슈가 되면서 미국 앱스토어에서 ChatGPT를 제치고 다운로드 앱 트렌딩 1위를 기록하고 있음

딥시크가 출신이 출신인지라 일부 중국 정치에 대한 검열도 걸려있고해서 미국 내에선 국가안보와 관련한 우려도 나오고 있음

결론 : 기존 미국중심의 AI 업계 전반에 엄청난 후폭풍을 불러오고 있고 빅테크 주에 영향을 미치는 중